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외교부 브리핑

대변인 정례브리핑(8.21)

부서명
언론담당관실
작성일
2025-08-21
수정일
2025-08-22
조회수
1449


I. 모두 발언


안녕하십니까? 8월 21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박윤주 1차관은 제10차 FEALAC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8월 21일부터 23일까지 몽골을 방문합니다.


FEALAC은 동아시아와 중남미 36개국이 참여하는 두 지역 간 유일한 정부 간 다자협의체로, 이번 회의는 2019년 이후 6년 만에 개최됩니다.


박 차관은 FEALAC 발전을 위한 우리의 기여를 소개하고, 동아시아-중남미 두 지역의 연결성 강화 방안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박 차관은 몽골 방문 계기 8월 22일 바트뭉흐 바트체첵(Battsetseg Batmunkh) 몽골 외교장관을 예방할 계획입니다.


다음으로, 박윤주 1차관은 8월 26일 오후 서울에서 마리아 라우라 다 호샤(Maria Laura da Rocha) 브라질 외교차관과 양자 회담을 개최합니다.


두 차관은 교역·투자, 우주·항공, 에너지전환,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두 차관은 ‘한-브라질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 수립에 관한 교환각서’에 서명할 예정으로, 이를 계기로 양국 청년 간 교류 확대를 통해 양국 우호관계가 증진되고, 우리 청년들의 해외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 차관은 같은 날 서울에서 무하마드 나즈룰 이슬람(Md. Nazrul Islam) 방글라데시 외교부 양자차관과 제4차 한-방글라데시 정책협의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정책협의회를 통해 남아시아 핵심 파트너인 방글라데시와의 제반 분야 협력 확대를 도모함으로써 우리의 외교지평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질문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Ⅱ. 질의 및 응답


<질문> 대변인님, ‘한미 양국이 원자력 협정 개정과 관련한 논의에 착수했다.’ 이런 보도가 나왔는데요. 사실이 맞는지와 또 이게 논의가 실제 이루어지면 주무부처가 우리 외교부인지 아니면 다른 데인지, 또 협의가 이루어지면 정상 차원에서도 진전이 되면 논의가 이루어질지 여쭙습니다. (TV조선 이채현 기자)


<답변> 정부는 한미 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이용에 관한 협력을 강화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다시 하겠습니다. 정부는 한미 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을 강화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구체적 협력 강화 방안과 관련해서 밝힐 내용이 없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질문 두 가지인데요. 첫 번째로는 일요일이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일입니다. 얼마 전에 다이빙 대사도 노태우 전 대통령 묘역 참배하고 메시지를 낸 적 있는데요. 이것 관련해서 우리 정부가 내일 수교 기념 입장이 있으신지, 또 특사단 파견이나 이런 일정이 추후 있는지 말씀 부탁드리고요.


또 한 가지로는 오늘 오전에 인도네시아 외교장관 회담이 있었는데 관련해서 어떤 의제들 논의됐는지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 기자)


<답변> 정부는 올해 수교 33주년을 맞는 한중 관계가 양국 국민의 민생에 기여하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성숙하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중측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방향으로 한중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올해 10월 말 경주 APEC 정상회의 계기 시진핑 주석 방한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사 방문 등과 관련해서는 제가 언급드릴 사안은 없습니다.


그리고 오늘 오전에 개최된 한-인도네시아 외교장관 회담 관련해서는 양국 간 주요 현안과 지역 정세 등에 대해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체 사항에 대해서는 저희가 보도자료를 통해서 배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이재명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 3단계 방침을 밝혔는데요. 이제 더 이상 CVID나 CD 같은 표현은 저희가 쓰지 않기로 한 건지, 그렇다면 저희 정부가 지금 표현하고 있는 한반도 비핵화의 정의, 의미는 뭔지 궁금합니다. (TV조선 이채현 기자)


<답변> 오전에 보도된 바 있는 일본 신문과의 인터뷰 기사를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대통령 발언에 대해서 제가 추가로 말씀드릴 사안은 없습니다.


<질문> 그러면 저희가 CD를 계속 고수하고 있다고 봐도 될까요?  (TV조선 이채현 기자)


<답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관해서는 한미 양국을 비롯해서 국제사회의 공통된 목표로서 계속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언론담당관실
전화
02-2100-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