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에스토니아] 주간 경제동향('25.08.25.-31.)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9-09
수정일
2025-09-09
조회수
28

(정보제공 : 주에스토니아대사관)



                                                        에스토니아 주간 경제동향('25.08.25.-31.)




1. 에스토니아 하계 경제 전망 발표


ㅇ 에스토니아 재무부는 8.26(화) 하계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경제가 꾸준히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GDP 성장률을 2025년 0.8%, 2026년 2.5%로 예측함.


   - 물가상승률은 금년 5.4% 기록 후 내년에는 식료품과 서비스 가격 인상률 둔화와 세금 인상 효과 감소로 3.5% 수준으로 하락


   - 현재 높은 실업률은 점차 개선되며, 임금은 금년 5.7% 급증 후 2029년까지 4.4% 상승


   - 소득세와 부가세 인상으로 조세부담은 증가하겠지만, 내년부터 소득세 기본 비과세 한도가 도입으로 감소하여, EU 평균보다 낮은 수준 유지


   - 금년 재정적자 폭은 세금 인상으로 GDP의 1% 수준으로 감소하지만, 2026년에는 국방비 증액 및 소득세 조정으로 4% 수준으로 증가. 다만, 추가 국방비 지출이 없다면, 2029년까지는 GDP 2.8% 수준으로 하락


ㅇ 미할 총리는 당초 의회에 제출되었던 예산안의 재정적자 폭이 GDP 3% 정도였으나, 전망치는 1% 수준으로 2% 차이(약 8억 유로 절감)가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이는 투자 조정 및 운영경비 감축과 더불어 임금 상승으로 법인세·소득세 세수가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


   - 재정적자 감축분(8억 유로)을 활용한 정부 지출의 증액을 당장 검토하진 않을 것이며, 현행 지출 절감 노력을 지속할 예정


   - 세수 확보와 재정 여건이 양호하다면, 내년으로 계획된 소득세 인상 철회 및 교사·문화계 종사자·경찰·구조대 인력에 대한 임금 인상 문제를 검토 가능성 시사


6. 자동차세 도입후 차량 판매 동향


ㅇ 2025.1월부터 차량세(등록세 및 보유세) 제도 신설 이후 금년 상반기 차량 판매 현황 통계에 따르면, 차량세 부과 이후 작은 배기량 및 CO2 배출이 적은 차량의 판매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동향을 보임.


   - 신설된 차량세는 구입시 일회성 납부하는 등록세와 매년 납부하는 보유세로 나뉘며, 과세 기준으로 차량 엔진 배기량 및 무게, CO2 배출량 및 전기차 여부, 차량 연식 등 포함


ㅇ 2024년말 세금 도입 직전 차량 판매가 급증하며, 금년 상반기에는 차량 등록이 급감한 가운데, 상반기 화석 연료 차량(휘발유, 경유)의 등록은 60% 감소하였으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30%로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함.


   - 주재국에 등록 차량중 하이브리드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7%, 2022년 17%로 꾸준히 증가하며, 차량세가 도입된 금년 상반기에는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


ㅇ 전기차는 등록 차량의 10% 차지하며 전년 대비 2배 증가하였는바, 금년 상반기 상위 20개의 차량 브랜드의 판매가 대부분 감소한 반면, 테슬라는 전년 동기 대비 41% 판매가 상승함.


ㅇ 차량세 도입이후, 화석연료 차량도 CO2 배출량이 적은 소형 차량 선호현상이 나타난바, 기존 휘발유 또는 경유 차량의 CO2 평균 배출량이 145g/km에서 금년에는 125g/km로 감소함.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